그럼 ‘안다’라는 것은 대체 무엇일까요?
생각해 보면 ‘안다’라는 우리말이 상당히 막연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안다’라는 단어를 상당히 후하게 씁니다.
신문 같은 것을 읽어서 지식을 좀 가지고 있어도 ‘안다’라고 표현합니다.
또 어떤 사람과 몇 번 만나서 차 마시고 식사하고 나면
‘나 그 사람 잘 알아’라고 표현합니다.
‘안다’라는 말이 참 애매하다는 것이지요.
조금 알아도 알고, 많이 알아도 알고…….
얼굴 생김새, 코가 어떻게 생겼는지 알아도 알고, 깨달아도 알고…….
하지만 이 둘 사이에는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영어에서는 좀 더 명확합니다.
영어에서는 ‘안다’에 대해 ‘know’라는 표현을 쓰지요.
‘I know him’ 하면 그 사람에 대해 아주 많이 안다는 뜻입니다.
쉽게 말하면 그 사람의 몸을 안다는 것인데,
몸을 안다는 것은 상당히 많이 안다는 것이지요.
몸을 안다고 해서 코가 어떻게 생겼는지, 눈이 어떻게 생겼는지,
이런 것을 안다는 게 아닙니다.
그 사람을 경험했다는 뜻입니다.
‘I know him'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아주 가까운 사이라는 얘기입니다.
그냥 많이 만난 사이라면 ‘meet’라고 표현합니다.
만나는 사이라는 뜻이지요.
그것보다 덜 안다 하면 ‘see'라고 표현합니다.
그냥 봤다, 오다가다 봤다, 이런 뜻입니다.
영어에서는 이렇게 분명하게 분화가 되어 있는데
우리말에서는 몇 번 만나도 알고, 깨달아도 알고……,
이렇게 막연하게 되어 있어서 사람들이 ‘안다’는 것에 대해 함정에 빠져 있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여기에서‘안다’는 것은 ‘경험했다’는 것입니다.
책을 보고 알고, 오다가다 보고 만나고 알고, 이렇게 아는 것이 아니라
몸소 겪었다, 경험했다, 이런 것을 말합니다.
깨달음을 경험했다는 것이지요.
생각해 보면 ‘안다’라는 우리말이 상당히 막연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안다’라는 단어를 상당히 후하게 씁니다.
신문 같은 것을 읽어서 지식을 좀 가지고 있어도 ‘안다’라고 표현합니다.
또 어떤 사람과 몇 번 만나서 차 마시고 식사하고 나면
‘나 그 사람 잘 알아’라고 표현합니다.
‘안다’라는 말이 참 애매하다는 것이지요.
조금 알아도 알고, 많이 알아도 알고…….
얼굴 생김새, 코가 어떻게 생겼는지 알아도 알고, 깨달아도 알고…….
하지만 이 둘 사이에는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영어에서는 좀 더 명확합니다.
영어에서는 ‘안다’에 대해 ‘know’라는 표현을 쓰지요.
‘I know him’ 하면 그 사람에 대해 아주 많이 안다는 뜻입니다.
쉽게 말하면 그 사람의 몸을 안다는 것인데,
몸을 안다는 것은 상당히 많이 안다는 것이지요.
몸을 안다고 해서 코가 어떻게 생겼는지, 눈이 어떻게 생겼는지,
이런 것을 안다는 게 아닙니다.
그 사람을 경험했다는 뜻입니다.
‘I know him'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아주 가까운 사이라는 얘기입니다.
그냥 많이 만난 사이라면 ‘meet’라고 표현합니다.
만나는 사이라는 뜻이지요.
그것보다 덜 안다 하면 ‘see'라고 표현합니다.
그냥 봤다, 오다가다 봤다, 이런 뜻입니다.
영어에서는 이렇게 분명하게 분화가 되어 있는데
우리말에서는 몇 번 만나도 알고, 깨달아도 알고……,
이렇게 막연하게 되어 있어서 사람들이 ‘안다’는 것에 대해 함정에 빠져 있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여기에서‘안다’는 것은 ‘경험했다’는 것입니다.
책을 보고 알고, 오다가다 보고 만나고 알고, 이렇게 아는 것이 아니라
몸소 겪었다, 경험했다, 이런 것을 말합니다.
깨달음을 경험했다는 것이지요.